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REST
- DNS동작원리
- 셀레니움
- 정렬 기준
- 스프링 회원가입 인증
- excalidraw
- 개발자 디자인
- Spring
- 인턴
- 스프링
- 위키 탭
- 스트림
- 잘하고싶다..
- 숭실대
- Java
- 사이드 프로젝트
- 스터디 관리
- 현장실습
- nurigo
- 자바
- ssh
- 값 객체
- 문자 인증
- NAVER D2
- 프로그래머스
- OpenAI
- 위키 꾸미기
- 현장실습 IT
- Executors
- aws ec2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Network (1)
뭐요

왜 알아보았는가 Springboot로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서버를 띄우기 위해 AWS EC2에서 인스턴스를 생성 후 그 위에 Ubuntu를 띄워보았다. AWS EC2로 처음 작업해보는데 그냥 구글링 해서 쉽게쉽게 따라 해서 서버를 띄울 수 있었다. 다 하고 나니까 .pem 파일을 받았고, 명령어 따라 쳐서 서버 접속해보니 ssh 방식의 서버 원격 접속이라길래 궁금했다. 별 이유는 없다. SSH 개념 서버 원격 접속을 하는 데 보안에 있어서 가장 대표적이고 유용한 수단이다. 원래 주로 텔넷(Telnet)을 사용했는데 암호화를 제공해주지 않아 보안에 취약함. Secure SHell : 원격 Host에 접속하기 위한 보안 프로토콜 What is 셸? 운영 체제에서 커널과 이용자 사이에 끼어서 이용자의 명..
Network
2022. 9. 10. 19:0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