뭐요

[뜨끔] 앱 출시 후 약 1년간의 기록 본문

Project/뜨끔 - 스터디 관리 앱

[뜨끔] 앱 출시 후 약 1년간의 기록

욕심만 많은 사람 2024. 12. 4. 21:37

뜨끔을 Appstore, Playstore에 출시하고 나서 회사에 입사하여 바쁘다는 이유로 전혀 신경쓰지 못했다. 원래는 회사를 다니는 와중에도 꾸준히 작업해서 사용성을 개선해 나가자는 의지를 가지고 출시했지만, 회사생활과 사이드 프로젝트를 병행하는 게 쉽지 않았다.

그치만 이제는 어느정도 회사에 적응하여 여유가 생겼기 때문에 짬짬히 시간내서 앱을 개선해보려고 한다. (개선해야 할 부분이 너무 많이 보인다!)

 

1년 동안 뜨끔을 운영하면서 USER들이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꾸준히 봐왔다. 그리고 뜨끔 개발자가 아닌, 나또한 뜨끔을 사용하는 한 USER로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정리해보려고 한다.

 

DB에 적재된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 행동 패턴 분석

매일 한 두명씩 꾸준히 USER가 가입함
  • 2024/06/10 ~ 2024/12/04 동안 182명 가입함
  • 어떤 경로로 유입이 되는거지?
  • 왜 가입하는거지?
가입한 USER는?
  • 계정 탈퇴 -> 8%
  • 계정 탈퇴 안함 && 당일 사용 후 미접속 -> 50%
  • 일부 USER만 일주일 이상 사용
  • 일주일 이상 이용한 USER도 이내, 사용X
비교적 꾸준히 이용한 USER의 사용 방식은?
  • (거의 대부분의 USER가) 회차 생성을 매일 해서 일별로 회차를 사용함
  • 실제 오프라인 스터디를 하기로 한 날에 회차를 생성하길 의도했지만, 의도한대로 사용한 USER가 없음
  • 회차 생성에 대한 전면 기획 수정 필요

 

문제점

회원 가입한 USER를 위해 예시 스터디 노출
  • 신규로 회원가입을 하는 경우, 어떻게 사용하면 되는지 가이드를 해주기 위해 예시 스터디를 생성함
  • 예시 스터디는 USER마다 DB에 데이터를 적재 중
  • 어떻게 하면 DB에 데이터를 적재하지 않고 USER에게 예시 스터디를 보여줄지 (가이드를 해줄지) 고민이 필요함
스터디 초대 방식
  • 스터디 생성 시에 스터디 초대 코드가 생성됨
  • 스터디 초대 코드가 노출되는 경우, 원하지 않는 사용자가 스터디에 참여할 수 있음
  • 스터디 초대 코드에 유효 시간을 주어 필요할 때 새롭게 생성할 수 있도록 해야함
  • UI 디자인 변경이 필요함
낮은 품질의 BE 코드
  • 회사에 입사하고, 현업에서 작성하는 코드를 보니까 개선해야 할 코드가 많이 보임
  • 회차, 과제 등 매번 stream 남발이 아닌 Comparator 구현하여 이를 활용
  • 불필요한 DB 다대다 테이블 구조 변경
  • 응답 객체를 API 마다 공유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사용하도록 별개로 생성
  • refresh token 적용 등등
  • 사용성 개선도 좋지만 코드 품질 개선을 통해 확장성 확보 및 Bad smell 제거 필요

+ 추가로 피그마 화면 디자인에 기획 내용도 추가하여, 한 눈에 보기 쉽도록 정리가 필요함


 

더도 말고, 덜도 말고 DAU 100명을 목표로 열심히 해보자 :) 근데 꾸준함을 곁들인